Study/Network

[네트워크 계층 구조] 통신 과정 한번에 파악하기

Dream Amal 2024. 3. 27.

2024.01.12 - [Study/Network] -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1

2024.01.17 - [Study/Network] -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2

2024.01.17 - [Study/Network] -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3 (ARP란?)

 

[네트워크 계층구조] 시리즈의 내용을 간단한 예시로 요약하는 글입니다.

 

 

PC0 에서 Ping 192.168.2.11(PC3) 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까?

  1. subnetmask로 해당 네트워크가 본인 네트워크인지 확인
    1. 본인 network라면, ARP를 직접 보내서 MAC을 바로 확인할 수 있음
    2. 다른 network라면, ARP를 보내도 MAC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
      라우터를 거쳐야지만 갈 수 있음!
  2. 다른 network라면, ARP를 라우터에 보냄
    •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를 찾기 위해 라우터에 ARP를 보내는 것
      arp request 1.11 2.11 PC0 라우터 MAC 모름
  3. 라우터가 확인하고 자신의 MAC을 알려줌
    arp request 1.11 2.11 PC0 Router0
  4. PC0이 보낸 Frame을 확인한 Router0은 자신의 정보를 떼고 Packet으로 Router1에게 전달
    IP Packet 1.11 2.11
  • WAN 통신은 PPP (Point to Point) or HDLC
  • 라우터간의 통신은 같은 network안에서 이루어짐

MAC 주소가 같으면, 문제가 생길까?

  •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다면 문제가 생김
  • But, 다른 네트워크 안에 있다면, 문제될 것이 없음!
  • MAC 주소는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일이 없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한 후, ARP cache table에는 몇 개의 MAC주소가 남아있을까?

  • Ethernet 통신이 아니라면, Router의 MAC 주소 하나만 알고 있으면 됨!

IP 주소로만 통신이 가능한가?

  • 가능하다.
  • 그러나 multiple한 환경(CSMA)에서는 broadcast, arp request 등을 보내면
    CPU에 부하가 생김
  • ⇒ 물리적인 주소(Ethernet의 MAC address)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음!

물리적인 주소로만 통신이 가능한가?

  • 가능하다.
  • 그러나 다른 network와 통신하기 위해 모든 MAC address를 알아와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함
    ⇒ 물리적인 주소만으로는 외부와의 통신이 쉽지 않음!

원격지와 통신하고 싶다

  1. 네트워크(IP address)가 ethernet인지 아닌지 판단
    1. Ethernet MAC addresses
    2. Router MAC address
      ⇒ 모든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가능해짐!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