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Network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2

Dream Amal 2024. 1. 17.

2024.01.12 - [Study/Network] -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1 와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IP Header (IPv4)

  • Type of Service(TOS)
    • 서비스 우선순위를 정함

  • Total Length
    • 패킷의 전체 size (최대 1500 byte)
  • Identification
    • Fragmentation이 발생한 경우, 해당 내용을 식별 (몇번 째 조각인지)
  • IP Flags
    • Fragmentation이 일어났는지, 아닌지를 판단
  • Fragment Offset
    • Fragmentation의 몇 번째 byte부터 시작인지 (byte 범위를 알려줌)
    • buffer overflow
      • Fragmentation된 data를 받아 재조합 했는데, total length를 넘을 경우, mem 부하가 발생
  • Time to Live(TTL)
    • data가 살아있을 수 있는 주기
    • windows는 128, linux는 255 까지의 값을 가짐
    • 길을 찾아줄 때마다 -1 (장비를 거쳐갈 때마다 -1)
      • TTL값을 보고 어디서 왔는지, 어떤 시스템인지 예측해볼 수 있음
  • Protocol ID
    • 뒤 따라 오는 값이 TCP인지 UDP인지 알려줌
  • Header Checksum
    • IP header의 checksum

MTU

PDU

  • Protocol Data Unit
  • OSI 7계층에서 각각의 계층에서 만들어내는 Unit(Data)들을 PDU라고 함
  • Segment, Packet, Frame에 대해 자신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Frame
    • OSI 2계층에서 만들어지는 PDU
    • 1518 byte
  • Packet
    • OSI 3계층에서 만들어지는 PDU
    • 1500 byte
  • Segment
    • OSI 4계층에서 만들어지는 PDU
    • 1480byte

MAC Address

  • NIC에서 만들어지는 고유한 물리 주소
  • 총 6byte로 구성되어 있음 (48bit)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 network에서 data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용도
    • Error 발생 시 처리에 관한 IP의 단점을 보완
  • Echo Request and Reply (Ping Command)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