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7 - [Study/Network] -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2 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 ARP ⭐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주소를 바탕으로 MAC주소를 찾는 Protocol
- data를 보내기 위해 Frame을 만들어야 함
- SYN, TCP, 보내는 IP, 받는 IP, 보내는 MAC, 받는 MAC 정보를 알아야 함
- SYN을 보낼 때도, ACK를 보낼 때도, 가장 먼저 ARP cache table을 확인함
- ARP 확인을 위해 첫번째 ping은 느릴 수 있음
- 받는 MAC 주소를 모르면, parking함
- 받는 MAC 주소를 어떻게 찾을 수 있는가?
- ARP Request를 통해 알 수 있음
- ARP request 를 보낼 때에도 받는 MAC는 모름
- ⇒ 브로드캐스트 (FF:FF:FF:…) 함
- 브로드캐스트 받은 모든 PC 중, 해당 IP를 가진 PC가 응답을 보냄
- ARP reply
- reply할 때에는 받는 MAC주소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브로드캐스트 하지 않아도 됨
- ⇒ 유니캐스트 함
- ARP reply
- reply를 받으면 해당 PC의 MAC을 알게 됨
- ARP cache table에 MAC을 저장함
- parking 되어 있던 Frame에 받는 MAC을 넣어 통신함
ARP Cache Table
- 정적(수동), 동적(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음
- MAC 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면, 브로드캐스트 횟수를 줄일 수 있음
- 영구적으로 저장하면
- NIC가 바뀌었을 때, 통신할 수 없음
- MAC 주소가 바뀌기 때문
- 메모리 용량을 많이 사용하게 됨
- NIC가 바뀌었을 때, 통신할 수 없음
- 영구적으로 저장하면
- 현재 Windows는 Cache Timeout을 max 15분으로 지정해둠
- 각각의 기기마다 timeout이 다르기때문에, 장비 교체시에는 반드시 재부팅해주어야 함
**arp -d
** 명령어로 cache table을 삭제할 수 있음
ARP 통신 과정
- 자신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What is ARP? | NetworkAcademy.io
728x90
'Stud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발전 과정 (1) | 2024.04.03 |
---|---|
[네트워크 계층 구조] 통신 과정 한번에 파악하기 (2) | 2024.03.27 |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2 (0) | 2024.01.17 |
[네트워크 기초] IP와 서브넷 마스크 정복하기 (0) | 2024.01.17 |
[네트워크 기초] 개요 3 (2) | 2024.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