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12 - [Study/Network] -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1 와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IP Header (IPv4)
- Type of Service(TOS)
- 서비스 우선순위를 정함
- Total Length
- 패킷의 전체 size (최대 1500 byte)
- Identification
- Fragmentation이 발생한 경우, 해당 내용을 식별 (몇번 째 조각인지)
- IP Flags
- Fragmentation이 일어났는지, 아닌지를 판단
- Fragment Offset
- Fragmentation의 몇 번째 byte부터 시작인지 (byte 범위를 알려줌)
- buffer overflow
- Fragmentation된 data를 받아 재조합 했는데, total length를 넘을 경우, mem 부하가 발생
- Time to Live(TTL)
- data가 살아있을 수 있는 주기
- windows는 128, linux는 255 까지의 값을 가짐
- 길을 찾아줄 때마다 -1 (장비를 거쳐갈 때마다 -1)
- TTL값을 보고 어디서 왔는지, 어떤 시스템인지 예측해볼 수 있음
- Protocol ID
- 뒤 따라 오는 값이 TCP인지 UDP인지 알려줌
- Header Checksum
- IP header의 checksum
MTU
- Maximum Transmission Unit
- 각 CSP마다 보낼 수 있는 MTU size가 다를 수 있음
- EC2 인스턴스에 대한 네트워크 MTU(최대 전송 단위)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PDU
- Protocol Data Unit
- OSI 7계층에서 각각의 계층에서 만들어내는 Unit(Data)들을 PDU라고 함
- Segment, Packet, Frame에 대해 자신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Frame
- OSI 2계층에서 만들어지는 PDU
- 1518 byte
- Packet
- OSI 3계층에서 만들어지는 PDU
- 1500 byte
- Segment
- OSI 4계층에서 만들어지는 PDU
- 1480byte
MAC Address
- NIC에서 만들어지는 고유한 물리 주소
- 총 6byte로 구성되어 있음 (48bit)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 network에서 data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용도
- Error 발생 시 처리에 관한 IP의 단점을 보완함
- Echo Request and Reply (Ping Command)
- Ping Program을 개발한 사람은 Mike Muuss
728x90
'Stud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계층 구조] 통신 과정 한번에 파악하기 (2) | 2024.03.27 |
---|---|
[네트워크 계층구조] TCP/IP에 대하여 - 3 (ARP란?) (0) | 2024.01.17 |
[네트워크 기초] IP와 서브넷 마스크 정복하기 (0) | 2024.01.17 |
[네트워크 기초] 개요 3 (2) | 2024.01.13 |
[네트워크 기초] 개요 2 (1) | 2024.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