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9 [8장] 솔루션과 보안 29 솔루션 감시 솔루션 감시 솔루션의 구분 SNMP를 이용하는 형태 각 서버에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설치해 자료를 수집하는 형태 일본에서 자주 사용되는 솔루션 나기오스 웹 설정 화면 X, 설정을 텍스트 파일로 저장 장애 발생 이력을 DB가 아닌 텍스트 파일로 저장 감시 설정 플러그인 추가 가능 https://www.nagios.org/* 자빅스 다른 감시 시스템에 없는 고급 감시, 경고, 가시화 기능 탑재 서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오토 디스커버리 가능 로우 레벨 디스커버리 가능 폴링과 트래핑 지원 감사 로그 지원 등 https://www.zabbix.com/* 캑타이 MTRG 감시 솔루션의 대체 도구로 유명 SNMP 에이전트가 가져온 값을 그래프화 할 수 있음 호스트나 인터페이스를 웹에서 추가할 수 ..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4. 3. 28. [7장] 데이터 센터 💡 데이터 센터는 전기, 온도, 네트워크, 보안, 재해 대책 등이 충분히 고려된 IT 인프라 구축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 데이터 센터에서는 법정 정전과 상관 없이 24시간, 365일 계속 가동할 수 있음 26 데이터 센터를 사용한다 데이터 센터의 냉각 시스템 이중 마루 냉각 방식 강력한 냉각 공기를 불어넣어 방 전체를 냉각하는 방식 구조는 단순하나,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에서 계속 열이 배출되는 상태로 방 전체를 냉각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낮음 열 복도/냉 복도 냉각 방식 (배열 흡인 방식) 콜드 아일(cold aisle) 냉각 공기로 채워진 냉 복도 공간 냉각 공기를 불어넣어 냉각 핫 아일(hot aisle) 배출된 열기로 채워진 열 복도 공간 배출된 열기를 빨아당김 콜드아일과 핫아일을 물리적으로 명확히 ..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4. 3. 27. [5장] 스토리지 💡 스토리지란? -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21 스토리지 로컬 스토리지 서버 내부에 디스크를 설치하여 이용하는 저장 영역 설치 공간 절약 가능 외부 스토리지와 비교하여 설치할 수 있는 디스크의 개수와 확장성이 적어짐 외부 스토리지 서버 외부에 준비한 스토리지 장비 혹은 영역 DAS (Direct Attached Storage)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스토리지 장비 로컬 스토리지만으로 용량이 부족할 때 필요한 만큼 디스크 용량을 늘릴 수 있음 스트라이핑 수가 많은 RAID로 구성하여 디스크 I/O 성능을 높일 수 있음 운영체제는 DAS에 생성된 논리 드라이브를 내장 디스크의 논리 드라이브로 인식 → OS단에서 DAS와 내장 디스크를 구분하지 않고 같은 방식으로 다룸 DAS의 구성 형태 서버에 RAID 컨트롤..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4. 3. 27. [4장] 네트워크 💡 네트워크란? - 서버 등 복수의 노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한 집합체16 네트워크 장비 선택라우터의 역할라우터수신한 패킷을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나누는 장비LAN 외부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라우터가 필요함관련 용어인터넷전 세계에 걸친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WAN (Wide Area Network)라우터의 동작 방식라우터가 패킷을 전달받음패킷에 있는 목적지(IP)를 확인함라우팅 테이블(목적지 정보)를 확인네트워크 주소와 IP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존재한다면, 그에 따라 패킷을 전송라우팅 테이블에 정보가 없다면, 기본 게이트웨이로 전송적절..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4. 3. 27. [3장] 운영체제 🖥️ 운영체제란? -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이용자에게 서버에 명령을 입력하도록 CLI와 GUI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13 리눅스오픈소스의 대표적인 운영체제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며, 종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관리 방법 및 설치 방법에도 차이가 있음Red Hat 계열Red Hat Enterprise LinuxCentOSFedoraOracle Linux 등데비안 계열DebianKNOPPIXUbuntu 등유상 지원 서비스가 필요할 때 Red Hat Enterprise Linux(RHEL)가 주로 사용됨이외의 경우에는 그 밖의 배포판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임대부분 유상지원을 하는 배포판의 경우 년단위의 정기 구독을 필요로 ..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4. 1. 12. [2장] 서버 (클라우드)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인터넷을 거쳐 제공되는 컴퓨터 자원을 이용하는 것12 클라우드 : IaaS클라우드의 종류SaaSSoftware as a Service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로서 제공PaaSPlatform as a Services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서비스로서 제공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시스템 인프라를 서비스로서 제공CSP의 관리 범위 IaaS의 특징물리 서버를 관리하는 엔지니어가 필요 없음이용 신청 후, 단기간에 서버 사용이 가능함물리적 제약을 의식하지 않고 이용하고 싶은 만큼 서버를 증강할 수 있음사용한 만큼 비용이 발생하는 종량 과금제임서버를 구매할 때 발생하는 감가상각 처리가 필요하..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4. 1. 12. [2장] 서버 (메모리~가상화) 08 메모리 💡 **메모리**란? - 단기 기억 영역 (휘발성 데이터 저장소) 성능 메모리의 속도는 메모리 자체의 속도와 CPU, 각종 버스 간의 데이터 전송폭을 모두 고려하여야 함 메모리 표기 방식 1600 MHz의 데이터 전송 속도로 동작한다는 의미 모듈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1600MHz * 8bytes = 12,800MB/s 로 12.8GB/s가 됨 DDR3-1600 다중 채널 메모리 구조 또는 다중 랭크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 전송폭을 늘릴 수 있음 DDR3 메모리의 종류 DDR4 메모리의 종류 DDR RAM 규격 별 형태 메모리 용어 슬롯 메인보드에 있는 메모리 삽입구 메인보드에 있는 슬롯 개수에 따라 메모리를 삽입할 수 있음 ECC 메모리 메모리 고장으로 비트 반전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보..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4. 1. 12. [2장] 서버 (~CPU) 🖥️ 서버란? -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하드웨어05 서버의 종류랙 마운트형과 타워형 서버의 차이타워형 서버사내 서버 룸, 사무실, 점포 등에 주로 설치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에 설치할 시 저소음 서버를 사용할 수 있음랙 마운트형 서버데이터 센터, 서버룸에 설치 된 렉 안에 주로 설치19인치 랙에 수용하는 것을 전제로 함랙에 탑재되는 서버는 1U, 2U 등 유닛 단위 사이즈임높이 1U = 1.77inch (44.45mm)엔트리, 미들레인지, 하이엔드 서버용도에 따라 (성능/규모에 차이를 두어) 서버를 구분하여 부름엔트리 서버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주로 이용됨1~2개의 CPU 탑재가장 저렴한 버전의 서버미들레인지 서버..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3. 6. 8. [1장]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01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인프라 설계인프라는 반드시 구축 목적이 있음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건(기능, 성능, 비용, 기간 등)을 기준으로 인프라를 기획하고 설계하여야 함.인프라 구축인프라 구축의 단계기기 운반 → 조립 → 장착 → 설치 → 설정 → 동작 테스트 → 부하 테스트 등업계별 분류SI(System Integration) 업계CE (Customer Engineer)기기를 들여와서 설치하는 하드웨어 작업SE (System Engineer)서버, 스토리지 설정NE (Network Engineer)네트워크 장비 설정웹 기반 업계에서는 따로 역할 분담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인프라 운영인프라는 24시간, .. Book Review/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2023. 6. 8.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