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영체제란?
-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이용자에게 서버에 명령을 입력하도록 CLI와 GUI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
13 리눅스
- 오픈소스의 대표적인 운영체제
-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며, 종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패키지 관리 방법 및 설치 방법에도 차이가 있음
- Red Hat 계열
- Red Hat Enterprise Linux
- CentOS
- Fedora
- Oracle Linux 등
- 데비안 계열
- Debian
- KNOPPIX
- Ubuntu 등
- 유상 지원 서비스가 필요할 때 Red Hat Enterprise Linux(RHEL)가 주로 사용됨
- 이외의 경우에는 그 밖의 배포판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임
- 대부분 유상지원을 하는 배포판의 경우 년단위의 정기 구독을 필요로 함
14 윈도 서버
- MS가 제공하는 서버용 운영체제
- 서버 운영체제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익숙한 GUI를 제공
윈도 서버 선정 이유
- 윈도 서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사용이 필요한 경우
- Exchange Server, Sharepoint, SQL Server 등 같은 MS 제품을 사용할 때
- 여러 운영체제에서 가동하는 제품을 윈도 서버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
- 닷넷(.Net) 프레임워크 사용이 필요한 경우
- MS의 .Net 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실행 환경을 제공함
- .Net
- 업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패키지로 묶은 것
- 복잡한 업무 애플리케이션을 단기간에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SI에서 많이 채용됨
- 액티브 디렉터리 환경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 액티브 디렉터리
- MS가 개발한 디렉터리 서비스 시스템
- 오피스 환경에서 윈도PC, 프린터, 서버 같은 하드웨어 자원과 사용자의 각종 권한 관리시 사용됨
- 액티브 디렉터리
지원 생애 주기
- MS의 각 제품에는 지원 기간이 설정되어 있음
- 일반 지원 종료일까지 기능 확장 제공
- 연장 지원 종료일까지 보안 패치 제공
- 연장 지원 종료일 이후로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도 새로운 패치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이 전에 새 버전으로의 업데이트가 필요함
15 유닉스
- 1968년 미국 AT&T의 벨 연구소에서 개발
-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으며 이식성이 뛰어난 C언어로 다시 작성되며
소스 코드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 다양한 플랫폼에 이식됨 - SPEC1170 기술사양을 만족하는 운영체제만 정식으로 UNIX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음
- 현재 유닉스는 엔터프라이즈 서버 운영체제로 이용되는 일이 많음
대표적인 유닉스 운영체제
- AIX
- IBM의 상용 운영체제
- IBM의 POWER CPU에서 동작
- Solaris
- 오라클의 상용 운영체제
- 오라클의 SPARC 및 x86 계열의 CPU에서 동작
- HP-UX
- 휴렛 팩커드의 운영체제
- 휴렛 팩커드의 PA-RISC 및 인텔의 Itanium 계열 CPU에서 동작
728x90
'Book Review >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장] 스토리지 (0) | 2024.03.27 |
---|---|
[4장] 네트워크 (0) | 2024.03.27 |
[2장] 서버 (클라우드) (0) | 2024.01.12 |
[2장] 서버 (메모리~가상화) (2) | 2024.01.12 |
[2장] 서버 (~CPU) (0)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