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 센터는 전기, 온도, 네트워크, 보안, 재해 대책 등이 충분히 고려된
IT 인프라 구축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
데이터 센터에서는 법정 정전과 상관 없이 24시간, 365일 계속 가동할 수 있음
26 데이터 센터를 사용한다
데이터 센터의 냉각 시스템
- 이중 마루 냉각 방식
- 강력한 냉각 공기를 불어넣어 방 전체를 냉각하는 방식
- 구조는 단순하나,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에서 계속 열이 배출되는 상태로 방 전체를 냉각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낮음
- 열 복도/냉 복도 냉각 방식 (배열 흡인 방식)
- 콜드 아일(cold aisle)
- 냉각 공기로 채워진 냉 복도 공간
- 냉각 공기를 불어넣어 냉각
- 핫 아일(hot aisle)
- 배출된 열기로 채워진 열 복도 공간
- 배출된 열기를 빨아당김
- 콜드아일과 핫아일을 물리적으로 명확히 구분하는 방식
- 이중 마루 냉각 방식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음
- 콜드 아일(cold aisle)
- 외기 냉각 방식
- 외부 공기를 이용해 최대한 전력에 의지하지 않고 냉각을 실현하는 방식
- 외부 공기 온도가 수시로 변하므로 냉각 시스템도 함께 사용해야 함
- 외기에 포함된 불순물과 먼지를 필터로 어떻게 걸러낼 것인지가 중요
데이터 센터 선정
- 접근 방식
- 지인의 소개
- 서버 업체 등 아는 업체로부터 소개
- 홈페이지 등에서 주목할 만한 데이터 센터를 찾아 문의
데이터 센터 선정 포인트
- 데이터 센터를 선정, 서버 설치 이후에는 다른 데이터 센터로의 이전이 어려움
→ 신중한 결정 필요 - 데이터 센터의 입지
- 서버 설치 대수
- 랙은 반입인가 대여인가
- 이용 가능한 전원
- 무거운 하중에 대한 대응
- 방재 수준
- UPS(무정전 장치)와 발전기 성능
- 폐기물 처리
- 반입 공간과 주차장 유무
- 리모트 핸드 서비스 유무
- 사용자 룸 유무
- 케이지 유무
- 네트워크 회선의 커넥티비티
- 비정기적 요구에 강한가
- 물품 대여의 유연성
- 매점과 숙박 시설 유무
- 비용
27 랙에 장비를 설치한다
네트워크 장비 설치
- 랙의 맨 위에 설치
- 랙을 넘어서는 스위치 간의 배선에 용이
- LAN 케이블을 늘어뜨려 둘 수 있음
- 랙의 중간에 설치
- 서버와 스위치 사이의 거리를 가장 짧게 설치할 수 있음
공기 흐름
- 랙을 여러개 이용할 때는 서버에서 나간 열기가 다른 서버로 들어가지 않도록 배치해야 함
전력 용량 문제
- 한 랙당 사용할 수 있는 전력 용량에는 제한이 존재함
W = V * A
임을 고려하여 물리적인 설치 가능 대수 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량도 계산해보아야 함
28 자체 서버 룸을 사용한다
자사에 서버 룸을 만들기 위한 포인트
- 면적
- 서버룸에 들어가는 장비
- 서버, 네트워크 장비, 냉각 장치, 소화 장치, UPS(무정전 장치), KVM 스위치, 서랍, 패치 패널, PBX(전화 교환기), 각종 비품
- 미래 수요까지 예측하여 필요한 공간을 계산해야 함
- 서버룸에 들어가는 장비
- 전력 용량
- 건물에 따른 최대 전력 용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필요한 전력 용량을 건물 자체가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함
- 냉각
- 내하중
- 랙의 무게에 따라 내하중 보강공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음
- 지진 대책
- 먼지 대책
- 법정 점검 대책
- 보안
- 비품 보관 장소
- 서버룸 비품 종류
- OS 설치 미디어, 공구, LAN 케이블, USB 메모리, 예비 메모리, 예비 하드디스크 등
- 서버룸 비품 종류
728x90
'Book Review >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장] 솔루션과 보안 (1) | 2024.03.28 |
---|---|
[5장] 스토리지 (0) | 2024.03.27 |
[4장] 네트워크 (0) | 2024.03.27 |
[3장] 운영체제 (0) | 2024.01.12 |
[2장] 서버 (클라우드) (0) | 2024.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