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Network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용어 총 정리

Dream Amal 2024. 4. 8.
OSI 7계층을 기준으로, 주요 계층별로 구분하여 네트워크 용어를 설명합니다.
찾고자 하는 용어가 있다면 ctrl + f 또는 찾기를 활용해보세요!

Basic

  • 네트워크 (network) :  컴퓨터를 두 대 이상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망
  • 인터넷 (internet) : TCP/IP 를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
  • 패킷 (packet) : 네트워크 통신 시 사용하는 작게 분할 된 데이터 조각,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
  • 비트 (bit) : 정보의 최소 단위, 0 또는 1을 나타냄
  • 바이트 (byte) : 컴퓨터의 정보량 단위, 8bit = 1byte
  • 랜 (LAN) : Local Area Network
    • 가까운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집, 회사, 학교  등)
  • 무선 랜 :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자외선을 이용하여 컴퓨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방식
  • 왠 (WEN) : Wide Area Network 
    • 매우 넓은 범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국가, 대륙 등)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 :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 (KT, U+등)
  • 서버 (server) : 다른 컴퓨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 클라이언트 (client) :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는 측의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서버에서 보내주는 정보 서비스를 받는 측
  • DMZ (DeMilitarized Zone)
    • 네트워크의 보안 영역
    • 외부 공격자가 내부 네트워크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함
  • 프로토콜 (protocol) : 컴퓨터 간 정보를 주고 받을 때의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이나 표준
  • OSI 모델 : Open Standards Interconnection Model
    •  국제표준화기구(ISO)가 1977년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
  • TCP/IP 모델
    • OSI 모델 7계층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4계층으로 단순화 시켜 사용하는 모델
    • 산업 표준처럼 사용됨
  • 캡슐화 (encapsulation) : 상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데이터에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기술
  • 역캡슐화 (decapsulation) : 상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이 하위 계층에서 추가한 정보와 데이터를 분리하는 기술
  • 헤더 (header) 
    • 저장되거나 전송되는 데이터의 맨 앞에 위치하는 추가적인 정보 데이터
    • 데이터의 내용이나 성격을 식별 또는 제어하는데 사용
  • 트레일러 (trailer) : 데이터의 맨 뒤에 위치하는 정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사용
  • 엑세스 포인트 (access point)
    •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 인터넷 접속을 도와주는 중계 장치
  • IEEE802.11n : 무선 랜이나 와이파이(WiFi)에 사용되는 표준 기술
  • SSID : Service Set IDentifier
    •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의 각 헤더에 붙는 고유 식별자, 하나의 무선 랜을 다른 무선 랜과 구분하는 역할을 함
  • 채널 (channel) : 무선 통신에서 하나의 통화 신호나 기타 정보다 전송되는 분리된 전송로
  • 전파 간섭 (interference) 
    • 같은 주파수의 파동이 합성되거나 상쇄될 때 나타나는 현상
    • 무선 랜-무선 랜 또는 무선 랜-다른 기기 사이의 전파 간섭으로 인해 통신 속도가 떨어질 수 있음

Layer 1

  • 물리 계층 : OSI 모델 최하위 계층
    •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를 담당
    • 전송 메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전송함
  • 전기 신호 : 전압이 일정한 패턴으로 변하여 생기는 일련의 흐름
    • 전압의 변화가 모여서 만들어진 신호
  • 디지털 신호 : 아날로그 신호를 전류의 유무나 극성, 위상의 동일이나 반대 등 물리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인식하는 0또는 1의 2진수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신호
  • 랜 카드 LAN card
    •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전송을 담당
    • NIC (network Interface card)라고도 불림
  • 케이블 : 전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랜 케이블 또는 랜선이라고 함
  • 리피터 (repeater) :  감쇠된 전송 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다시 전달하는 신호 중계 장치
  • 허브 (hub) :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비들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장치
  • 노이즈 (noise, 잡음) : 데이터의 왜곡이나 분해로 인해 전송 매체에서 생기는 전자 신호

Layer 2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기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물리 주소를 결정함
  • 이더넷 : ethernet
    •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 중 하나
    • L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
  • 충돌 (collusion) :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만 전송할 수 있는 채널에 전송 장치 두 개가 같은 시점에 패킷을 보낼 때 일어나는 데이터 충돌을 의미
  • MAC 주소 : 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
  • 스위치 (switch)
    • LAN을 구성하는 단말기 간 스위칭 기능이 있는 통신망 중계 장치
    • 호스트에서 특정 단말기로 패킷을 보낼 수 있는 기능이 있어 통신 효율이 향상됨
  • 전이중 통신 방식 : full-duplex communication
    • 전화회선과 같이 송신과 수신이 양쪽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양방향 통신
    • 서로 다른 회선이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가 충돌되는 상황을 방지함
  •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네트워크 계층 주소(IP 주소)와 데이터 링크 계층 주소(MAC 주소) 사이의 변환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 IP주소를 물리주소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데 사용함
  • ARP 캐시 (ARP cache) : 가장 최근에 변환한 IP 주소 : MAC 주소 를 보관하고 있는 램(RAM)의 한 영역
  • ARP 요청 (ARP request) :  IP 주소를 대치할 수 있는 MAC 주소를 찾아내기 위해 보내는 브로드캐스트 패킷 요청
  • ARP 응답 (ARP reply) : ARP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한 IP주소에 대한 MAC 주소가 실려있음

Layer 3

  • 네트워크 계층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위해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을 하며 패킷 전송을 담당함
  • IP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에 있는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 IP 주소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
  • IP 주소 클래스
    • IPv4에서 사용하는 주소 그룹
    • A, B, C 클래스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됨
    • D클래스는 멀티캐스트 주소로 사용됨
    • E클래스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기 위해 확보해 놓은 것(연구용)임
  • 라우터 (roueter)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
    •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함
  • 라우팅 (routing)
    • 패킷을 목적지로 보낼 때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여러 경로 중 한 가지 경로를 설정해주는 과정을 의미
  • 라우팅 테이블
    •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시킬 목적으로 사용
    •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위한 가장 좋은 라우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음
  • 서브넷 (subnet) : 큰 네트워크를 분할해서 만든 작은 네트워크
  • 서브넷팅 (subneting) : 네트워크를 분할하기 위해 IP 주소의 구성을 변경하는 작업
  • 서브넷 ID :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을 늘리기 위해 서브넷 마스크로 사용되는 비트
  •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만 나타나게 하여 같은 네트워크인지를 판별하기 하는 마스크
  • 멀티 캐스트 (multicast) : 호스트에서 패킷을 여러 컴퓨터로 동시에 전송하는 것
  •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 IP 네트워크에 이는 모든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Layer 4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
    •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신경쓰지 않도록 함
    • 데이터의 중복, 누락 없이 순서에 맞게 전송되도록 관리
  • 연결형 (connection-oriented) 
    • 데이터를 교환하기 전에 연결을 맺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안 계속 연결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의 한 형태
  • 비연결형 (connectionless) 
    • 연결(connection)에 대한 초기화 과정이 없는 통신
  • TCP (전송 제어 프로토콜)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연결형 통신 방식으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함
  • 대역폭 (bandwidth) : 정해진 시간 동안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속도)
  • UDP : 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형 통신 방식으로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
  • 3 way handshake
    • TCP 통신에서 신뢰성 제공을 위한 통신 방식
    • 컴퓨터 간에 연결을 맺기 위한 초기화 과정
    • SYN, SYN/ACK, ACK 를 주고 받음
  • well-known ports
    •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예약되어 있는 1~1023번 포트
  • sequence number
    • TCP에서 데이터를 보낼 때 패킷의 순서 제어를 위해 부여하는 고유 번호
  • 포트 번호
    • 통신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
    • 0~65,535 번까지의 포트가 존재함

Layer 7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OSI 모델의 최상위 계층
    • 다양하게 존재하는 응용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다룸
    • 시스템간의 응용 처리는 상호 간에 통신하면서 일련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함
  • WWW : World Wide Web
    •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곳에 접근하거나 정보를 공유하고 주고 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인터넷 서버
  •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 DNS : Domain Name System
    •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하는 시스템
  • FTP : File Transfer Protocol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 일반적으로 제어 용도의 포트는 21번, 전송 용도의 포트는 20번을 사용함
  •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인터넷에서 메일을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일반적으로 25번 포트를 사용함
  • POP3
    • 인터넷에서 메일을 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일반적으로 110번 포트를 사용함
  • 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
    • WWW를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마크업 언어
    •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됨
  •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에서 파일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기술된 주소
    • 웹 사이트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