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1에서 설치한 minikube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익혀봅시다!
[실습1] WSL에 Docker 및 Minikube 설치
01. WSL 설치app store에서 wsl 설치원하는 버전으로 설치 가능하기 내용은 Ubuntu 22.04를 기준으로 작성됨검색 > cmd > ubuntu 선택username 및 PW 설정하여 사용 가능02. Docker 설치 및 사용자 추가# docker 설치su
dream-coding.tistory.com
Minikube 란?
01. 기본 개념
- 단일 노드 k8s 클러스터를 가상머신(VM) 또는 컨테이너 기반 환경(docker 등) 위에 생성해 줌
- 로컨환경에서 k8s 클러스터를 쉽게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
- 실습, 테스트 등에 적합하나 실제 서비스 운용 시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02. 동작 방식
- 로컬 환경 탐지
- 로컬에 설치된 하이퍼바이저(Docker, Hyper-V 등)를 탐지
-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자동 선택한 드라이버에 따라 k8s를 실행할 환경을 구성
- K8S 클러스터 생성
- 선택된 드라이버 위에 단일노드의 k8s 클러스터를 구성
- 해당 클러스터에 k8s의 모든 기본 구성 요소 (api-server, scheduler, kublet 등)이 포함되어 있음
- 내부 구성
- minikube start 명렁어로 클러스터 생성 시
- vm 또는 컨테이너 실행
- k8s 바이너리를 해당 환경에 설치
- kubelet, kube-apiserver 등 핵심 컴포넌트 실행
- kubectl을 통해 명령을 보낼 수 있도록 kubeconfig 설정
- minikube start 명렁어로 클러스터 생성 시
- 서비스 접근 방법
- minikube service [서비스 이름] 으로 NodePort를 통한 접근 가능
- minikube tunnel 을 실행하여 LoadBalancer 타입 서비스로도 로컬에서 사용 가능함
03. minikube 주요 명령어
- 실제로는 kubectl을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으나, 알고있으면 편리함
명령어 | 설명 |
minikube start | 클러스터 시작 및 초기화 |
minikube stop | 클러스터 정지 |
minikube delete | 클러스터 삭제 |
minikube status | 상태 확인 |
minikube dashboard | 웹 UI 실행 |
minikube service [서비스명] | 로컬 브라우저에서 서비스 접근 |
minikube tunnel | LoadBalancer 타입 서비스 사용 가능하게 터널 생성 |
Minikube Dashboard
- 현재 k8s의 정보를 모아서 확인할 수 있는 UI가 생성됨
minikube dashboard
Hello Kubernetes 실습
❗ 명령어에 익숙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학습할 예정이니 이렇게 쓰는구나.. 생각만 하면서 따라해도 괜찮습니다.
01. Hello 앱 배포
# 현재 배포되어 있는 pod 확인
kubectl get po
# Hello 앱 배포하기
## hello-minikube 라는 이름의 deployment를 생성하고 HTTP echo 서버 이미지를 사용
kubectl create deployment hello-minikube --image=kicbase/echo-server:1.0
# NodePort 타입의 서비스를 생성하여 외부 접속이 가능하도록 노출
kubectl expose deployment hello-minikube --type=NodePort --port=8080
# 웹 브라우저로 접속 확인
minikube service hello-minikube
02. 서비스 및 배포 상태 확인
# 현재 배포되어 있는 pod 확인
kubectl get po
# 현재 배포되어 있는 service 확인
kubectl get svc
# 현재 배포되어있는 deployment 확인
kubectl get deploy
# TIP : 전체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모든 리소스 확인
kubectl get all --all-namespaces
03. 배포된 앱 정리(삭제)
# deployment 삭제
kubectl delete deploy hello-minikube
# service 삭제
kubectl delete svc hello-minikube
# get 명령어로 삭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minikube 일시 정지
minikube stop
728x90
'Study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습4] Nginx 배포하기 (1) | 2025.07.14 |
---|---|
[실습3] kubectl 명령어 익히기 (0) | 2025.06.25 |
[실습1] WSL에 Docker 및 Minikube 설치 (0) | 2025.06.23 |
[이론] 쿠버네티스 구성요소 (1) | 2025.06.23 |
[TIP] 쿠버네티스 컴포넌트와 오브젝트 : 용어부터 알고가자! (1) | 2024.11.25 |
댓글